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신서방장수왕족발
- 장애이해교육
- 책읽아웃
- 상계주공15단지
- 희망가꾸기적금
- 11단지장터
- 밴드합주곡추천
- 장애공감교육
- 김하나
- 실로암포네
- 도서출판점자
- 이슬아작가
- 꾸러기의 근황
- 장애인우대적금
- 시각장애아빠의 고민
- 이오공감
- 서울시장애인콜택시
- 부산은행희망가꾸기적금
- 오은의 옹기종기
- 나비정원
- 칼립소주법
- 아무튼
- 점자달력
- 꾸러기
- 마들역맛집
- 결혼기념일
- 우쿨렐레강좌
- 문미호소아과
- 꾸러기의 일상
- 아무튼 시리즈
- Today
- Total
사람과 사람사이(사사사)
고등학교 특수학급의 방과후 학교 방향 본문
올해로 고등학교 특수학급을 온 지 4년 차가 되었다.
새 학년이 될 때마다 고민하고 생각하는 것 중의 하나가 있다면 방과 후 학교와 동아리 활동이다.
그동안 우리학교는 방송댄스, 생활체육, 생활공예, 컴퓨터교실, 음악교실 등을 운영하였다.
해가 갈 수록 아이들이 방과 후 학교에 덜 참여하며 마지못해 해주는 느낌을 갖게 되기도 한다.
아이들의 선호도를 못 따라가기도 할 뿐만 아니라 그만큼 재미가 있지 않기도 할 것 같다.최근에 생각 한 부분인데 내년에는 한번 추진해도 좋을것 같아서 적어본다.
1. 학교간 방과 후 학교 공유
우리학교 주변에 있는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연합을 통하여 방과 후 학교를 운영하는 것이다. 2~3개교를 묶어서 방과 후 학교를 기획하고 진행하는 것이다. 현재 우리 학교가 3개 반을 운영하는데 3개 학교가 한다면 5개 정도로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좋은 활동을 계획할 수 있을 것 같다. 더불어 장애학생들 간의 또래 집단도 확장시켜주게 되어 친구관계도 늘려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. 프로그램으로는 바리스타 교실, 제과제빵교실, 조리활동, 음악교실, 체육활동, 공예활동을 비롯하여 진로와 관련된 것을 더 확장할 수 있을 것 같다. 또 다른 효과로는 지역사회를 이용함으로 대중교통수단 이용능력도 기를 수 있게 되리라 생각된다.
2. 동아리활동 공유
동아리 활동은 현재 특수학급 아이들만 대상으로 동아리반을 꾸미고 있다. 하지만 2~3 학교를 묶어서 할 경우 또래문화를 더 배우는 기회가 될 수 있다. 보드 게임하기, 재배 활동하기, 여가 활동하기 등이 있을 것 같다.
3. 학교간 동아리 및 방과 후 학교로 인한 효과
동아리 활동과 방과 후 학교를 학교 간 연합을 하여 실시하게 된다면
첫째, 더 많은 프로그램이 나올 수 있게 될 것이다.
둘째, 직업 경진대회나 체육대회 및 정보화대회 같은 큰 대회에 참여하기 더 용이해질 것이다.
셋째, 친구들 간의 관계가 고등학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졸업 후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.
넷째, 교사들 간의 협력으로 질 높은 특수교육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.
물론 이것이 실현되기 어려울 수도 있고 실현된다고 해도 이러한 효과가 반드시 나오지는 않을 수도 있지만 한번쯤 계획하여 실시해 본다면 큰 예산 없이 거점학교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.
'이야기 > 학교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수 후기)Z세대의 소통법, 유튜브 활용 교육) (0) | 2020.09.10 |
---|---|
장애공감교육 소개 (0) | 2020.08.18 |
아무튼 방학이다! (0) | 2020.08.12 |
교원학습공동체로 함께한 우쿨렐레 (0) | 2020.08.01 |
온라인개학으로 더 어려운 사람들 (0) | 2020.06.09 |